1. 번역서는 저작물로서 인정받을 수 있는가에 관하여 알아본다.
2. 저작물에 독창적인 창작성을 더할 경우 2차적 저작물로 인정받을 수 있고, 경미한 수준의 변형만 가해졌다면, 복제 정도로만 인정받을 수 있다.
3. 번역서는 원저작물을 번역한 것이므로, 번역서 자체에 창작성이 인정될 경우 2차저작물로서 저작권을 인정받을 수 있고, 번역서가 번역에만 충실하고 창작성이 인정되지 않으면 저작권을 인정받을 수 없다. 다만, 원저작자의 저작권은 여전히 인정된다.
참조판례
저작권침해정지등
[대법원 2007.3.29, 선고, 2005다44138, 판결]
[1] 번역저작물의 창작성은, 원저작물을 언어체계가 다른 나라의 언어로 표현하기 위한 적절한 어휘와 구문의 선택 및 배열, 문장의 장단 및 서술의 순서, 원저작물에 대한 충실도, 문체, 어조 및 어감의 조절 등 번역자의 창의와 정신적 노력이 깃들은 부분에 있는 것이고, 그 번역저작물에 나타난 사건의 전개, 구체적인 줄거리, 등장인물의 성격과 상호관계, 배경설정 등은 경우에 따라 원저작물의 창작적 표현에 해당할 수 있음은 별론으로 하고 번역저작물의 창작적 표현이라 할 수 없으므로, 번역저작권의 침해 여부를 가리기 위하여 번역저작물과 대상 저작물 사이에 실질적 유사성이 있는가의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위와 같은 번역저작물의 창작적인 표현에 해당하는 것만을 가지고 대비하여야 한다.
[2] 대상 저작물이 기존의 저작물에 의거하여 작성되었는지 여부와 양 저작물 사이에 실질적 유사성이 있는지 여부는 서로 별개의 판단으로서, 전자의 판단에는 후자의 판단과 달리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표현뿐만 아니라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지 못하는 표현 등이 유사한지 여부도 함께 참작될 수 있으므로, 대상 저작물이 번역저작물에 의거하여 작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지 못한 표현 등의 유사성을 참작할 수 있다고 하여, 양 저작물 사이의 실질적 유사성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위와 같은 부분 등의 유사성을 참작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3] 번역저작물의 개개 번역 표현들을 구성하고 있는 어휘나 구문과 부분적으로 유사해 보이는 어휘나 구문이 대상 저작물에서 드문드문 발견된다는 사정만으로 바로 번역저작물과 대상 저작물 사이에 실질적 유사성이 있다거나 번역저작물에 대한 번역저작권이 침해되었다고 단정할 수는 없고, 그 실질적 유사성을 인정하기 위해서는 대상 저작물에서 유사 어휘나 구문이 사용된 결과 번역저작물이 갖는 창작적 특성이 대상 저작물에서 감지될 정도에 이르러야 한다.
'지적재산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8. 폰트 서체 프로그램 저작권 (0) | 2020.04.04 |
---|---|
6. 요리책과 저작권 (0) | 2019.05.17 |
4. 서예작품의 저작권 (0) | 2019.05.17 |
3. 프로그램저작권_도급 (0) | 2019.05.17 |
2. 상품사진과 저작권 (0) | 2019.05.17 |